맨위로가기

양충 (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충은 북위 말기부터 북주 시기까지 활약한 무장으로, 수나라를 건국한 양견의 아버지이다. 북위의 이주도율 휘하에서 군을 이끌었고, 서위 건국에 기여하여 우문태에게 중용되었다. 이후 북주의 건국에도 참여하여 북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12대장군 수국공에 봉해졌다. 568년 사망 후 태보로 추증되었고, 수나라 건국 후 태조 무원황제로 추존되었다. 그의 출신에 대해서는 홍농 양씨라는 기록이 있으나 논란이 있으며, 한족 또는 선비족 출신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나라의 추존황제 - 양소 (원덕태자)
    양소(원덕태자)는 수 문제의 손자이자 수 양제의 아들로, 황태손에 책봉되었다가 황태자가 되었으나 양광의 사주를 받은 양소에게 독살당해 원덕태자로 추존되었고, 아들 양유가 황제에 즉위한 뒤 효성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568년 사망 - 북제 무성제
    북제 무성제는 동위의 실력자 고환의 아들로, 북제의 제4대 황제로서 사치와 폭정을 일삼다가 아들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 568년 사망 - 우근 (인물)
    우근은 남북조 시대 서위와 북주의 무장으로, 팔주국 중 한 명으로서 북위에서 무관으로 시작해 서위 건국에 기여하고 높은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 북주의 사공 - 후막진숭
    후막진숭은 북위 말 혼란기에 두각을 나타내어 서위 건국에 공헌하고 북주에서 요직을 역임했으나 우문호의 몰락을 예측했다가 자결한 군인이자 관료이며, 그의 활약은 주서와 북사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 북주의 사공 - 북주 무제
    북주 무제 우문옹은 권신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폐불 정책을 통해 재정을 확보하였으며,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으나 진나라 공격을 앞두고 병사한 북주의 제3대 황제이다.
양충 (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양충
한자 표기楊忠
로마자 표기Yang Zhong
신분
작위수국공
시호 (사후)4년 581월 3일 이전: 수환공(隨桓公)
4년 581월 3일 이후: 무원황제(武元皇帝)
묘호태조(太祖)
생애
출생507년
출생지내몽골 숴저우 우촨 현
사망568년 8월 17일 (61세)
가족 관계
아버지양정(杨祯)
어머니개씨(盖氏)
배우자여고도(吕苦桃), 이씨(李氏)
자녀양견
양정
양찬
양상
양송
성안공주(成安公主)
장락공주(長樂公主)
양공주(楊公主)
작위 계승
작위명수국공
임기 시작559년 11월 2일
임기 종료568년 8월 17일
이전없음 (첫 번째 소유자)
이후양견

2. 생애

양충은 북위 말기 이주영의 친족 이주도율 휘하에서 군 경력을 시작했으며, 훗날 서위의 실력자가 되는 독고신과 동기로 함께 활약했다.[5] 534년 독고신을 따라 동위의 형주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동위의 형주 자사 신찬(辛纂)을 죽이기도 했다.[5] 그러나 동위의 반격으로 형주를 뺏기고 양으로 망명했다가, 537년 서위로 귀환하였다.[6]

우문태를 따라 서위 건국에 공헌하여 승상 우문태에게 중용되었고, 537년 두태 토벌, 538년 하교·망산 전투 등에서 공을 세워 좌광록대부·운주 자사 등에 임명되었다.[6]

북주 건국 후에는 원수로 임명되어 양찬, 이목, 왕걸, 전홍, 모용연 등 10여 명의 대장을 이끌고 북제를 공격하여 20여 개 성을 함락하고, 돌궐의 10만 대군을 격퇴하는 등 큰 공을 세워 12대장군 수국공(隨國公)에 봉해졌다.[16]

568년 병으로 쓰러져 장안으로 돌아왔으나 사망하였고, 아들 양견이 대장군-수국공의 지위를 계승하였다. 사후 태조 무원황제로 추존되었다.

2. 1. 북위 말기의 활약

양충은 북위 시절 이주영의 친족 이주도율 휘하에서 군대를 이끌었다. 훗날 서위의 실력자가 된 독고신이 이때 양충과 함께한 동기였다.[5]

534년, 독고신이 동위 형주를 공격할 때 양충도 참전하여 형주를 점령하고 동위의 형주 자사 신찬(辛纂)을 죽였다.[5] 이후 양충과 독고신은 동위의 반격으로 약 반 년 만에 형주를 빼앗기고 양으로 망명했다.[5] 무제는 이들에게 작위를 수여했으나, 537년 양충과 독고신은 서위로 귀환하였다.[6]

2. 2. 서위 건국 공신

우문태(宇文泰)를 따라 서위를 건국하는 데 공헌하여 서위의 승상 우문태에게 중용되어 거기대장군이 되었다.[5] 537년, 우문태의 휘하에서 두태를 토벌하고, 사원에서 싸웠다. 538년, 하교·망산 전투에서 장사 5명과 함께 분전하여 다리를 지켜냈다. 공로로 좌광록대부·운주 자사에 임명되었고, 대도독을 겸했다. 이원과 함께 흑수계호를 격파하고, 이봉과 함께 옥벽의 포위를 풀었다.[6]

2. 3. 북주 건국 이후

북주 건국 후, 양충은 원수로 임명되어 양찬, 이목, 왕걸, 전홍, 모용연 등 10여 명의 대장을 이끌고 북제를 공격하여 20여 개 성을 함락하였다.[16] 이후 돌궐 10만 대군이 진양에 쳐들어오자 맞아 싸워 격퇴했다.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12대장군 수국공(隨國公)에 봉해졌다.[16]

2. 4. 최후

568년 양충은 병으로 쓰러져 장안으로 돌아왔으나 낫지 못하고 병사했다. 향년 62세였다.[5] 양충이 죽자, 아들 양견이 대장군-수국공의 지위를 물려받았다. 사후 태보·동삭 등 13주 제군사·동주 자사의 위를 추증받았고, 시호는 환(桓)이었다. 수나라 건국 후 태조 무원황제로 추존되었다.

3. 가계

양충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배우자
원명황후 여씨(元明皇后 呂氏), 이름 고도(苦桃)[10]
롱서 이씨 부인(隴西李氏)
불명


  • 원명황후 여씨 소생
  • 성안공주, 첫째 딸: 두영정에게 시집가 두강을 포함한 아들 셋을 낳았다.[11]
  • 수 문제 양견, 맏아들
  • 양정, 둘째 아들
  • 양찬, 셋째 아들
  • 창락공주, 둘째 딸: 두로통에게 시집가 아들 하나를 낳았다.[15]
  • 롱서 이씨 소생
  • 양숭, 넷째 아들
  • 양상, 다섯째 아들
  • 불명 소생
  • 이례성에게 시집간 양씨 공주

3. 1. 부인


  • 원명황후 여씨(元明皇后 呂氏), 이름 고도(苦桃)[10]
  • 성안공주 (첫째 딸): 진의공 두영정(窦荣定)에게 시집가 아들 셋(두강 포함)을 낳았다.[11]
  • 수 문제 양견 (541년 7월 21일 – 604년 8월 13일), 맏아들
  • 채경왕 양정 (540년 – 576년), 둘째 아들[12]
  • 등목왕 양찬 (550년 – 591년 9월 16일), 셋째 아들[13][14]
  • 창락공주 (둘째 딸): 남진군공 두로통(豆卢通)에게 시집가 아들 하나를 낳았다.[15]
  • 롱서 이씨 부인(隴西李氏)
  • 도선왕 양숭, 넷째 아들
  • 위소왕 양상, 다섯째 아들
  • 불명
  • 양씨 공주, 셋째 딸: 강군공 이례성(李礼成)에게 시집감

3. 2. 자녀

양충은 여러 명의 아들과 딸을 두었다. 부인으로는 원명황후 여고도와 롱서 이씨 등이 있었다.

부인자녀
원명황후 여고도
롱서 이씨
(미상)(미상, 이예성에게 출가)[26]


3. 2. 1. 아들


  • 양견(楊堅): 수나라 초대 황제. 여고도의 아들이다.[20]
  • 양정(楊整): 채경왕(蔡景王). 여고도의 아들이다.[21][22]
  • 양찬(楊瓚): 등목왕(滕穆王). 여고도의 아들이다.[23]
  • 양숭(楊嵩): 도선왕(道宣王). 이씨의 아들이다.[24]
  • 양상(楊爽): 위소왕(衛昭王). 이씨의 아들이다.[25]

3. 2. 2. 딸

봉호이름부마비고
만안공주(萬安公主)두영정(竇榮定)안성공주(安成公主)
창락공주(昌樂公主)두로통(豆盧 通)
공주이예성(李禮成)[26]


4. 평가 및 논란

양충에 대한 평가는 사료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주서』와 『수서』에서는 양충을 홍농 양씨 출신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이는 확인하기 어려운 주장이다.

천인커는 양충이 한족 가문 출신이며, 산둥 양씨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반면, 왕퉁링은 양충 가문이 선비족 혈통을 지녔거나 순수한 선비족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홍농 양씨 출신설을 지지했다.

4. 1. 평가

양충은 용맹하고 과감한 성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위북주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역량을 발휘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6] 특히, 맹수와 대치하여 혀를 뽑아 보인 일화는 그의 용맹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6]

4. 2. 출신 논란

주서』와 『수서』(모두 당나라 때 편찬)에 따르면 양충은 홍농 양씨(弘農楊氏)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 주장은 확인하기 어렵다.

중국의 역사학자 천인커(陳寅恪)는 양견의 가문이 내몽골 자치구 우촨현에서 태어났다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7] 그는 양충이 한족 가문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가문의 혼인 풍습으로 미루어 보아 양충은 산둥 양씨(山东杨氏)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8]

그러나 학자 왕퉁링(王桐齡)은 양견의 가문이 선비족의 혈통을 지녔거나, 심지어 순수한 선비족일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가 홍농 양씨에서 태어났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9]

참조

[1] 서적 Zhou Shu
[2] 서적 Book of Zhou
[3] 서적 Book of Zhou
[4] 서적 History of the Northern Dynasties
[5] 서적 Bei Shi
[6] 서적 Book of Zhou
[7] 서적 陈寅恪魏晋南北朝史讲演录
[8] 서적 陈寅恪魏晋南北朝史讲演录 黄山书社 1987-04
[9] 간행물 楊隋李唐先世系統考 《女師大學術季刊》 1932
[10] 서적 唐研究.第二十三卷 Peking University Press
[11] 서적 Book of Sui
[12] 서적 Book of Sui
[13] 문서
[14] 서적 Book of Sui
[15] 서적 History of the Northern Dynasties
[16] 서적 北魏書
[17] 서적 수 문제 https://www.culturec[...] 한국콘텐츠진흥원 2021-09-20
[18] 서적 문제 文帝,541~604 https://www.doopedia[...] 2021-09-20
[19] 서적 중국역대 인명사전 https://terms.naver.[...] 이회문화사 2021-09-20
[20] 문서 성기현공(成紀縣公)/대흥군공(大興郡公)/수국공(隋國公)
[21] 문서 진류군공(陳留郡公)
[22] 문서 수나라 건국 전에 사망함. 사후에 채왕으로 추봉됨.
[23] 문서 경릉군공(竟陵郡公)/소국공(邵國公)
[24] 문서 흥성군공(興城郡公)
[25] 문서 동안군공(同安郡公)
[26] 문서 공주 작호 미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